Home > 커뮤니티 > 공지사항

프린트

정동극장의 새로운 소식을 전해드립니다.

한컴그룹, 우문지와 함께하는 청년국악인큐베이팅 사업 <청춘만발> 7-8월의 아티스트 발표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17-09-15

한컴그룹,우문지와 함께하는 청년국악인큐베이팅 사업 청춘만발

 

7-8월의 아티스트 선정팀

모던가곡

groove&

심심한 명태

 

 

* 선정심사평: 시류에 쏠리지 않고 자신들만의 음악적 고민과 창작의 역량을 수준 높은 연주기량으로 표현하는 발전가능성을 기준으로 평가하였음.

 

심사위원

구분

이름

소속

1

주재연

서울아리랑페스티벌 예술감독 / 난장컬쳐스 대표

2

김서령

문화예술기획 이오공감 대표

3

신창열

퓨전국악그룹 ‘The 대표

4

손상원

정동극장장

5

이수현

정동극장 공연기획팀장

 

심사기준

- 예술성(20%) : 전통음악의 재해석 및 창작음악의 완성도

- 실험성·참신성(30%) : 창작의도 및 기존 공연과 구별되는 개성과 독창성

- 발전가능성(30%) : 기량향상 및 활동영역의 확장 가능성

- 대중성(20%) : 동시대 및 대중과의 소통가능성

 

심사총

[총평]

- 7~8월 총 10팀은 평균적으로 뛰어난 팀들이 많았음.

- 다양한 악기 편성과 개성 있는 창작적 시도가 눈에 띄었으며, 실력 있는 재학생으로 구성된 단체들의 증가가 고무적이었음.

- 시류에 쏠리지 않고 자신들만의 음악적 고민과 창작의 역량을 수준 높은 연주기량으로 표현하는 발전가능성을 기준으로 평가하였음.

- 우수한 단체들이 많아 이달의 아티스트 선정이 매우 치열했으며, 심사위원들의 숙고 끝에 전원 일치된 의견으로 1팀을 추가하여 총3팀을 선정하였음.

팀명

심사평

놀 플러스

공간의 확장성과 움직임을 통해 보여주는 여성적인 음악적 호흡과 전통 타악에 대한 이해와 변용에 대한 진지한 탐색이 돋보임.

기존 활발하게 활동을 펼치고 있는 창작그룹 노니의 유닛그룹으로 기존 작품들과의 차별성이 다소 아쉬웠음.

RC9

중앙대학교 전통예술학부 전공생들을 중심으로 창단된 신진단체로 학부생들로 구성된 점이 주목할 만함.

팀만의 특별한 음악적 지향점에 대한 고민이 필요할 것으로 보임.

사이다

타 장르와의 결합을 통해 전통의 재해석을 진지하게 고민하고 있으며 연주자들의 연주 기량과 합주의 균형이 우수함.

연주력을 과감하게 보여주는 집중력과 각 악기의 독창적인 느낌을 잘 살린 파트구성이 좋았음.

영 토리

영남지역의 민요를 작품화 하고자 하는 청년 연주자들의 노력과 시도가 높이 살만함.

전통 레파토리와 창작곡이 적절하게 조합되어 대중성을 갖췄으나 팀의 음악적 방향과 색깔에 대해 좀 더 고민이 필요해 보임.

모던가곡

공동창작을 통한 실험적인 접근이 인상적이었으며, 곡의 완성도와 연주기량이 돋보였음.

정가/가곡의 창작 작업의 새로운 가능성을 보여주었음.

;

재학생들로 구성된 단체로 전통음악에 자신들의 기초와 역량을 다지고 흥미롭게 집중하는 모습이 아주 고무적이었음.

정가에 충실한 음악어법을 중심으로 안정감 있게 정가와 가사 레퍼토리를 소화하였음.

너나드리

기악실내악 편성으로 팀원 간의 조화가 돋보이며 안정적으로 레퍼토리를 연주하였음.

다만, 기존의 국악실내악 형태와의 차별성이 다소 아쉬웠음.

진대

청년 단체다운 열기와 에너지, 연습량으로 우수한 기량을 보여줌.

버나를 중심으로 한 연희극은 대중적인 호흡을 이끌어내기에 좋았으며 이후 대중성 있는 연희단체로서의 가능성이 엿보임.

groove&

3인으로 구성된 여성타악그룹으로서의 희소성이 있으며, 균형 있는 기량의 멤버 3인이 돌아가면서 리드하며 곡을 잘 이끌어감.

악기에 대한 고민과 탐구, 기존 전통 타악 연주자들이 보여주지 못한 독창성이 돋보임.

심심한 명태

3인조로 구성된 단촐한 편성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음악적 구성이 탄탄하고 연주자들 사이의 음악적 교감과 집중력이 돋보임.

판소리 심청가, 춘향가, 제주 토속 민요 등으로 다양한 작품구성이 우수하며 곡의 완성도가 높아 앞으로 큰 활약이 기대됨.

 

 

문의 : 청춘만발 사업담당자 (02-751-1935 / audition@jeongdong.or.kr)


첨부파일